SQLD란?
SQLD(SQL Developer)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SQL 개발자 자격증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SQL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인증하는 자격증으로, IT 분야 종사자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자격증입니다. 해당 자격증을 취득해야 상위 자격증인 SQLP(SQL Professional)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
하단 공식홈페이지 링크에서 시험 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www.dataq.or.kr/www/main.do
데이터자격검정
데이터자격검정, 빅데이터분석기사, DAP, DAsP, SQLP, SQLD, ADP, ADsP
www.dataq.or.kr
2025년 시험 일정
시험 합격...
2025년 03월 28일 오늘부로 SQLD (SQL 개발자) 가채점 결과가 나왔습니다.
우려했던 것과 달리 안정권(?) 합격 통지받았네요....😌
이제 점수 나왔으니까 시험에 대해 리뷰와 독학 방법에 대해 자신있게 포스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험 준비
시험은 유선배 SQL 개발자(SQLD) 괴외노트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A.K.A 노랭이) 조합으로 준비했습니다.
처음에는 유선배 책으로만 공부를 진행했는데 아무래도 개념서에 가깝기 때문에
실전 문제 스타일을 대비하려면 노랭이 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추가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서 같은 경우에는 [데이터 전문가 포럼] SQL 개발자 스터디 교재(2020.08.22.) 로 공부해도 상관 없긴 한데 시험 범위가 개정이 되어서 불필요한 부분도 들어가 있습니다. 최신 시험범위가 반영된 교재가 필요하면 유선배 교재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유선배로 개념과 기본 다지고 노랭이로 실전감각익히고 시험 직전에 PDF 몇번 훑었습니다.
이 방법이 독학으로서 안전하게 합격하기에 좋았습니다.
시험 난이도
쿼리문 길이 자체는 노랭이가 깁니다. 하지만 까다로운건 시험이 더 까다로웠습니다.
노랭이의 SQL문 같은 경우에는 길이가 길어서 일단 읽기가 싫습니다...근데 차분히 해석을 해보면 까다롭지는 않고 답이 비교적 명확히(?) 보이는 문제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차분하게 시험보면 되겠다 싶어서 시험을 봤는데
시험의 쿼리문일 경우에는 길이는 짧은데 햇갈리는 선택지를 많이 배치해놨습니다.
세세한 디테일에서 차이를 둔다? 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시험을 보고 느낀 것은 당연한 말일지 모르지만
"기본에 충실해야한다." 입니다.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냥 쿼리 문법 하나하나에 좀 신경을 써서 암기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뭔가 당연하다고 그냥 넘어갔던 부분에서 어? 하는 문제들 많았습니다..많은게 아니라 대다수
정말 쿼리문 단순 해석 원툴로 시험 보기에는 까다로운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아까 말을 인용하자면
유선배로 개념과 기본 다지고 노랭이로 실전감각익히고 시험 직전에 PDF 몇번 훑었습니다.
가 시험 결과 나오고 보니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노랭이일 경우에는 해설이 미흡하거나 문제에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공백을 기본서가 많이 채워줄 수 있었습니다. 노랭이는 딱 시험 감각용, 까다롭게 나올만한 유형이 뭔지 분석 및 학습하는 정도였습니다.
저는 SQL에 대해서 지식을 다시 쌓을겸 3~4주 정도 시간을 할애하였으나
비전공자일 경우 4주 안밖?, 전공자일 경우 최대 2주가 정론인 것 같네요.
핵심 요약
제가 이번에 스터디 하면서 블로그에 핵심이 되는 내용들을 요약했는데,
회고해보면 모든 시험 내용이 다 거기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단원별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SQLD 시험이란 (feat. 시험 내용, 2025 시험 일정)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1-1: 데이터 모델의 이해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1-2: 엔티티(Entity), 속성(Attribute), 인스턴스(Instance)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 1-3: 관계와 식별자 (feat. ERD 표기)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2-1: 정규화(Normalization)와 반정규화(Denormalization)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2-2: 트랜잭션(Transaction)/ 널(NULL) /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Part 3: SQL 기본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3-1: SELECT 와 WHERE(feat. 연산자 & 함수 & 조건문)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3-2: GROUP BY & HAVING & ORDER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3-3: 논리적 JOIN (조인)의 모든 것
2025.02.16 - [자격증/SQLD] - Part 4: SQL 활용 (Advanced SQL Usage)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1: 서브쿼리 (Subquery)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2: 뷰 (View)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3: 집합 연산자 (Set Operators)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4 : 그룹(소계) 함수 및 집계 연산자
2025.02.17 - [자격증/SQLD] - [SQLD] 4-5: 윈도우 함수 (Window Functions) 와 윈도우 프레임(Window Frame)
2025.02.21 - [자격증/SQLD] - [SQLD] 4-6: Top N 쿼리 (Top N Query)
2025.02.21 - [자격증/SQLD] - [SQLD] 4-7: 계층형 질의와 셀프 조인
2025.02.21 - [자격증/SQLD] - [SQLD] 4-8: PIVOT 절과 UNPIVOT 절
2025.02.22 - [자격증/SQLD] - [SQLD] PART 5: 관리 구문(DML, TCL, DDL, DCL)
2025.02.22 - [자격증/SQLD] - [SQLD] 5-1: 데이터 조작어 (DML) 와 트랜잭션 제어(TCL)
2025.02.22 - [자격증/SQLD] - [SQLD] 5-2: 데이터 정의어(DDL) & 데이터 제어어(DCL)
2025.02.25 - [자격증/SQLD] - [SQLD SP01]JOIN에서 ON과 WHERE 차이
2025.02.25 - [자격증/SQLD] - [SQLD SP02] 물리적 JOIN(조인)의 모든 것
2025.02.21 - [자격증/SQLD] - [SQLD] 오답 노트 및 핵심 문제
특히,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2-2: 트랜잭션(Transaction)/ 널(NULL) /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1: 서브쿼리 (Subquery)
2025.02.13 - [자격증/SQLD] - [SQLD] 2-1: 정규화(Normalization)와 반정규화(Denormalization)
2025.02.16 - [자격증/SQLD] - [SQLD] 4-1: 서브쿼리 (Subquery)
2025.02.21 - [자격증/SQLD] - [SQLD] 4-7: 계층형 질의와 셀프 조인
2025.02.25 - [자격증/SQLD] - [SQLD SP01]JOIN에서 ON과 WHERE 차이
2025.02.25 - [자격증/SQLD] - [SQLD SP02] 물리적 JOIN(조인)의 모든 것
이것은 기출에서도 자주 나오고 이번 시험에 까다롭게 나와서 기억에 남네요.
'자격증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오답 노트 및 핵심 문제 (0) | 2025.02.28 |
---|---|
[SQLD SP02] 물리적 JOIN(조인)의 모든 것 (0) | 2025.02.27 |
[SQLD SP01]JOIN에서 ON과 WHERE 차이 (0) | 2025.02.26 |
[SQLD] 5-2: 데이터 정의어(DDL) & 데이터 제어어(DCL) (0) | 2025.02.22 |
[SQLD] 5-1: 데이터 조작어 (DML) 와 트랜잭션 제어(TCL)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