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파이썬9

Python - [백준 1012] 유기농 배추 (feat. BFS, 연결요소) 참고 포스트:2024.12.22 -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문제] - C - [백준 11724] 연결 요소의 개수 (feat. 배열) C - [백준 11724] 연결 요소의 개수 (feat. 배열)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7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6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BFS이전 포스트 - 그래프 + DFS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rnasterofmysea.tistory.com  Checkpoint BFS 와 연결요소에 관한 지식이 있으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예전에 풀었던  BOJ_11724)_연.. 2025. 3. 12.
Python - [백준 1715] 카드 정렬하기 (feat. 우선순위 큐) 참조 포스트:2025.02.24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힙(Heap)으로 우선순위 큐 구현하기 (feat. Lazy Deletion) [자료구조 & 알고리즘] 힙(Heap)으로 우선순위 큐 구현하기 (feat. Lazy Deletion)힙(Heap)으로 우선순위 큐 구현하기 (feat. Lazy Deletion)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는 우선순위가 높은 요소가 먼저 처리되는 자료구조입니다.일반적인 큐(Queue)는 선입선출(FIFO) 방식이지만, 우선순위rnasterofmysea.tistory.com  BOJ_1715_카드 정렬하기 정렬된 두 묶음의 숫자 카드가 있다고 하자. 각 묶음의 카드의 수를 A, B라 하면 보통 두 .. 2025. 3. 3.
[Python] 파이썬 독학 자료 정리 🚀 Intro컴퓨터 전공 졸업생으로 파이썬을 독학하면서 참고했던 서적과 링크를 공유합니다.특히 코딩학원에서 파트타임 강사로 일하면서 해당 자료들을 통해 초,중,고를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한적도 있어서 학습을 진행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개인적으로 업무 상에 파이썬을 써야해서 로드맵을 정리하려고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0. 자주 쓰는 온라인 컴파일러 (IDE)계정 생성하면 온라인에 코드 저장해놓을 수도 있고다양한 언어가 지원되어서 알고리즘 문제 풀거나 학습할 때 사용하는 사이트입니다.  https://www.mycompiler.io/ko myCompiler - C, C++, 자바, 파이썬, 고, NodeJS 및 기타 언어를 위한 온라인 IDEmyCompiler를 사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2025. 3. 1.
Python - [백준 7662] 이중 우선순위 큐 (feat. 힙, 우선순위큐, Lazy Deletion) 참고 포스트: 2025.02.24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힙(Heap)으로 우선순위 큐 구현하기 (feat. Lazy Deletion)    https://www.acmicpc.net/problem/7662 BOJ_7662_이중 우선순위 큐 (Python) 이중 우선순위 큐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지원하는 우선순위 큐입니다.일반적인 우선순위 큐는 최대 힙(Max Heap) 또는 최소 힙(Min Heap) 중 하나만 제공하지만,이 문제에서는 두 가지 연산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큐를 구현해야 합니다.1. 문제 조건📌 입력첫 번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 개수 T가 주어집니다. (1 ≤ T ≤ 100)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연산 개수.. 2025. 2. 26.
Python - [백준 2470] 두 용액 (feat. 투 포인터) 2025.02.02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1. 개요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이란 현재 단계에서 가장 최적의 선택을 반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탐욕법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식은 매 순rnasterofmysea.tistory.com   백준 2470번: 두 용액 (https://www.acmicpc.net/problem/2470)1. 문제 설명백준 2470번 문제는 두 개의 용액을 선택하여 그 합이 0에 가장 가까운 값을 찾는 문제입니다. 주어진.. 2025. 2. 18.
[자료구조 & 알고리즘] AVL 트리 (feat. 균형 이진 트리) 2025.02.07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이진 검색 트리 (feat. 트리) 균형 이진 트리(Balanced Binary Tree)란?균형 이진 트리(Balanced Binary Tree)는 이진 트리(Binary Tree)의 한 종류로, 트리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탐색, 삽입, 삭제 연산의 시간 복잡도를 O(log n)으로 보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이진 검색 트리(Binary Search Tree, BST)는 트리가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탐색 시간이 O(n)까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균형을 유지하는 트리가 필요합니다.대표적인 균형 이진 트리에는 AVL 트리와 레드-블랙 트리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AVL 트리.. 2025. 2.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