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에 치뤄졌던 빅데이터분석기사 결과가 나왔네요~~
70점으로 안정적인(?) 합격을 했습니다.
독학으로 3주 정도 했고, 준비 과정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교재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교재는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사용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942959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본서 | 나홍석 - 교보문고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본서 | 최신 출제기준을 적용한 도서로,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시험의 출제 경향을 철저히 분석하여 수험생들이 혼자서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완벽 대비
product.kyobobook.co.kr
제가 처음에 교재 선정을 할 때 "이기적 책이 필요없는 부분까지 너무 자세하게 나와있어서 양이 많다" 라는 글을 많이 봤는데
제 생각에는 시험을 준비하는데 다 필요한 내용입니다.
빅데이터 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하고 시험을 보면서 느낀 것이 시험범위가 광범위하게 퍼져있어서,
정처기 필기처럼 자주 나오는 것만 집중에서 공부하는 것은 리스크가 꽤 큽니다.
물론 집중에서 공부하고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 있으나,
비교하자면 정처기에서 자주 집중되는 부분이 7~80% 아닌 부분 20%정도라면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6대 4로 4정도는 광범위하게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서로 다 설명 나와있는 책은 한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통계학적 지식이 아예 없는 상태로 준비를 했고,
통계학 파트를 좀 공부를 해보다가 답이 안나올것같아서,
통계학적 개념만 확실히 잡고 가자로 노선을 틀었습니다.
통계 계산 문제가 시험에 무조건 나오기는 하나 많아야 3문제 평균 2문제입니다.
즉 과감하게 찍거나 버려도 된다는 뜻입니다.
계중에 자주 나오는 유형이 3~4가지 있습니다. 이것만 기출이나 문제 풀면서 익히고 이게 나오면 땡큐고 나머지는 버리는 식으로 가면 됩니다. 저도 딱 3~4개 확실히 공부하고 갔는데 그중에 1개가 나왔기 때문에 계산문제 3문제 중 1문제 맞췄습니다.
통계학적 문제 3문제 제외하고 나머지 77문제는 개념 + 간단한 계산입니다.
간단한 계산이란 , 위 사진 같은 오차행렬 같은 값이 주어신 상태에서 정확도의 개념을 알고 있냐 정도의 문제이기 때문에
개념 문제에 포함해도 무방합니다.
즉, 계산문제 때문에 빅분기가 어려워 보일 수 는 있지만 결국 개념 암기를 잘하면 필기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개념서를 보면 중복에서 나오는 개념이 있습니다.
코에 붙히면 코걸이고 귀에 붙히면 귀걸이라고, 딥러닝을 AI 관련 챕터에 넣을 수 도 있고 빅데이터 분석에 넣을 수도 있고, 결과 분석에 넣을 수도 있겠죠.
말을 바꾸면 같은 내용이 여러 챕터에 걸쳐서 중복되니까, 시험에서 출제될 빈도수가 높다는 뜻입니다.
책을 읽거나 학습할때, 어? 이거 어디서 본거 같은데? 같은 느낌이 들면 체크 해놓고 책 2회독을 하던 기출을 풀던해서 그 부분을 확실히 잡아야됩니다. 직접적으로 나올때도 있고 보기 중에 간접적으로 용어가 나올 때도 있습니다.
체감상 중복해서 나왔던 용어는 100% 시험에 전부 나왔습니다.
CBT 활용(https://cbt.youngjin.com/)
추가적으로 영진닷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CBT 모의고사를 활용했습니다.
그냥 틈틈이 시간 날 때 마다 뺑뻉이 돌리면서 정답률 90%까지는 올렸던 것 같네요.
중간에 개념을 익히거나 자주 출제되는 계산식을 익히는게 도움이 됩니다.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것은❗❗❗
영진닷컴 CBT 문제와 시험 문제는 다릅니다.
CBT 뺑뺑이만 돌리고 시험 직전에 책 보면 뒤에 기출을 풀어보면 "조졌는데?" 라고 바로 느껴집니다.
시험 문제와 CBT 문제와 격차가 꽤 심합니다.
난이도 보다는 CBT에서 나왔던 범위 외적인 부분이 시험에서 출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기출문제와 오답을 하고 가야지 시험에서 당황안합니다.
CBT만 보고 시험보고가면 리스크 큽니다 정말로
딱 개념 잡고 자주 나오는 유형정도 체크하는 정도로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CBT 7회 정도 돌렸습니다. 심심할때마다 한번씩.
90점정도 나올때 쯤 기출 시작했는데 바로 60점대로 꼬라박았습니다.
큰일났다싶어서 그때부터 기출 분석하고 오답하고 시험보러갔습니다.
제일 깔끔한 방법
2주
1주일 기본서 and CBT 뺑뺑이
1주일 기출 + CBT 오답
3주
1주일 기본서 and CBT 뻉뺑이
1주일 기본서 and 기출 뺑뺑이
1주일 CBT and 기출 뺑뻉이
라고 생각합니다.
.
.
.
제가 빅데이터 분석기사 관련 내용정리했었는데 그 중 시험에 안나온 내용 없었습니다.
참고하셔서 학습하셔도 무방합니다!!
2025.03.09 - [자격증/빅데이터분석기사] - PART 0: 2025년 빅데이터분석기사 독학 (feat. 시험 일정 및 개요, 이기적 교재)
PART 0: 2025년 빅데이터분석기사 독학 (feat. 시험 일정 및 개요, 이기적 교재)
시험비가 비교적 저렴해서( 17,800 )덜컥 신청했는데 허허....공부할게 많네요.특히 확률 통계쪽 그래프나 개념은 모르기 때문에 열심히 준비해볼 생각입니다.1. 빅데이터분석기사란?빅데이터분석
rnasterofmysea.tistory.com
시험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화이팅하시고 합격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자격증 > 빅데이터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04CH01S01-S02] 분석모형 평가 및 개선 (0) | 2025.03.19 |
---|---|
[P04CH01S02] 분석결과 해석 (0) | 2025.03.19 |
Part 4: 빅데이터 결과 해석 (0) | 2025.03.18 |
[P03CH02S02] 고급 분석 기법 (0) | 2025.03.18 |
[P03CH02S01] ✨분석 기법 (feat. 인공지능, 빅데이터) (1)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