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mputer Science116 [자료구조 & 알고리즘] BFS 알고리즘 구현 시 자료구조[배열/리스트]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유(feat. 밀집그래프, 희소그래프) 문제: 연결 요소의 개수 (BOJ 11724)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해당 문제를 배열과 리스트 두가지 방법으로 구현했으나 매모리와 속도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했습니다.결과를 분석하고 BFS를 구현할 때 배열과 리스트중 적합한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줄요약: 밀집 그래프 = 배열 / 희소 그래프 = 리스트 하단의 두 링크는 해당 문제에 대한 코드와 풀이 입니다. BFS + 배열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8 BFS + 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9백준 결과 분석1. 메모리 사용량배열 기반: 5024 KB배열 기반 구현에서는 1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인.. 2024. 12. 25. C - [백준 11724 재구현] 연결 요소의 개수 (feat. 리스트) 전 포스트 참고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8 그 전 포스트와 같은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 보았습니다. 연결 요소의 개수(독립적인 그룹의 수)를 구하는 문제였는데 BFS 알고리즘을 동적 배열을 통해서 구현했는데 구조체 기반 리스트 형태로 구현하는 것에 대한 연습 + 차이점을 비교해보고자 추가적인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코드#include #include // 노드 구조체 정의typedef struct Node { int vertex; // 연결된 노드 struct Node* next; // 다음 노드 포인터} Node;// 전역 변수 선언Node** graph; // 그래프 배열 (인접 리스트를 위한 동적 배열)i.. 2024. 12. 24. C - [백준 11724] 연결 요소의 개수 (feat. 배열) 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7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6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BFS이전 포스트 - 그래프 + DFS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구rnasterofmysea.tistory.com문제: 연결 요소의 개수 (BOJ 11724)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문제 설명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정점.. 2024. 12. 23. C - [백준 1260] DFS와 BFS [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구조이므로, 기초 개념부터 간단한 구현까지 배우면 이후 탐색 알고리즘도 쉽게 이해할 수rnasterofmysea.tistory.com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6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BFS이전 포스트 - 그래프 + DFS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구.. 2024. 12. 23.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BFS 이전 포스트 - 그래프 + DFS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구조이므로, 기초 개념부터 간단한 구현까지 배우면 이후 탐색 알고리즘도 쉽게 이해할 수rnasterofmysea.tistory.com BFS (너비 우선 탐색)1. BFS 개요BFS(Breadth-First Search)는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로, 가장 가까운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BFS는 큐(Queue)를 이용하며, 그래프의 최단 경로 탐색에도 활용됩니다. (DFS 일 경우 stack 사용)DFS(깊이 우선 탐색)와는 달리, BFS는 .. 2024. 12. 22.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 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구조이므로, 기초 개념부터 간단한 구현까지 배우면 이후 탐색 알고리즘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그래프란 무엇인가?정의: 그래프는 **노드(Node, 정점)**와 이들을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입니다.응용 분야: 네트워크(인터넷, 사회 연결망), 지리정보 시스템(지도), 경로 탐색(길 찾기), 관계 모델링(데이터 관계) 등.2. 그래프의 주요 용어정점(Vertex): 그래프를 이루는 점. 보통 숫자나 문자로 표현.간선(Edge): 정점 간의 연결선. 관계를 나타냄.방향성(Directionality):무방향 그래프: 간선에 방향이 없음 (A ↔ B).유방향 그래프: 간선.. 2024. 12. 2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