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딩테스트38 C - [백준 1987] 알파벳 (feat. 백트래킹, DFS & 최장거리 탐색) 참고 포스트 2024.12.25 -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문제] - C - [백준 2178] 미로탐색 (feat. BFS & 최단거리 탐색) C - [백준 2178] 미로탐색 (feat. BFS & 최단거리 탐색)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7 C - [Backjoon 1260] DFS와 BFS[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45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rnasterofmysea.tistory.com2024.12.30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백트래킹 (feat. DFS,.. 2025. 1. 5. C - [백준 9663] N-Queen (feat. 백트래킹, DFS) https://www.acmicpc.net/problem/9663 백준 9663번 - N-Queen 문제N-Queen 문제는 N×N 체스판 위에 N개의 퀸을 놓는 방법의 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퀸은 같은 행, 열, 대각선 상에 위치한 다른 퀸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서로 공격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입력N(1 ≤ N ≤ 15): 체스판의 크기 및 퀸의 개수출력조건을 만족하는 퀸 배치의 경우의 수 예제 입력 18 예제 출력 192 Checkpoint 1.각 행의 퀸은 1개씩 밖에 놓을 수 없기 때문에 첫 행에 퀸을 하나 배치하고 다음 행에 놓을 수 있는 공간에 퀸을 배치하고 그 다음 행에 놓일 수 있는 공간에 퀸을 배치하고 N개 행까지 전부 배치가 된다면 그 경우의 수는 성공이기 때문에 카운트를 하면.. 2025. 1. 4. C - [백준 15649, 15650] N 과 M 시리즈 정복하기 (feat. 백트래킹, 순열) 참조 포스트 2024.12.30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백트래킹 (feat. DFS, 재귀) [자료구조 & 알고리즘] 백트래킹 (feat. DFS, 재귀)DFS2024.12.19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 [자료구조 & 알고리즘] 그래프 + DFS그래프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해보겠습니다. 그래프는 DFS와 BFS를rnasterofmysea.tistory.com 백트래킹의 기본 문제는 N과 M 문제는 (1)~(12)등 여러가지 문제가 존재하는데,BOJ_15649, BOJ_15650 두 문제만 재대로 이해해도 나머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전혀 어려움이 없었.. 2025. 1. 3. C - [백준 2447] 별 찍기 -10 (feat. 재귀) 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61 [알고리즘] 단순 반복을 넘어서: 절차적 사고에 재귀를 더하다도입부 (Introduction) : 재귀적 사고의 필요성 여태까지 컴퓨터정보공학을 전공하면서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가 취약했기 때문에 튼튼한 기초를 잡고자 알고리즘의 기초부터 공부하기 시작했습니rnasterofmysea.tistory.comhttps://rnasterofmysea.tistory.com/64 예제 입력 1 27 예제 출력 1**************************** ** ** ** ** ** ** ** ** ******************************* ****** ****** **** * * ** * * ** * .. 2025. 1. 2. C - [백준1074] Z (feat. 재귀적 사고, 분할정복) 참고 포스트 2024.12.27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알고리즘] - [알고리즘] 단순 반복을 넘어서: 절차적 사고에 재귀를 더하다 [알고리즘] 단순 반복을 넘어서: 절차적 사고에 재귀를 더하다도입부 (Introduction) : 재귀적 사고의 필요성 여태까지 컴퓨터정보공학을 전공하면서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가 취약했기 때문에 튼튼한 기초를 잡고자 알고리즘의 기초부터 공부하기 시작했습니rnasterofmysea.tistory.com2024.12.28 -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문제] - C - [Backjoon 2630] 색종이 만들기 (feat. 재귀적 사고, 분할정복) 예제 입력 12 3 1예제 출력 111예제 입력 2 3 7 7예제 출력 2 63예제 입력.. 2024. 12. 31. C - [백준 2630] 색종이 만들기 (feat. 재귀적 사고, 분할정복) 참고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61 [알고리즘] 단순 반복을 넘어서: 절차적 사고에 재귀를 더하다도입부 (Introduction) : 재귀적 사고의 필요성 여태까지 컴퓨터정보공학을 전공하면서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가 취약했기 때문에 튼튼한 기초를 잡고자 알고리즘의 기초부터 공부하기 시작했습니rnasterofmysea.tistory.com https://www.acmicpc.net/problem/2630문제 설명백준 2630번: 색종이 만들기는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주어진 N×NN \times N 크기의 종이가 흰색(0)과 파란색(1)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규칙에 따라 최소 개수의 색종이로 나누는 .. 2024. 12. 30. 이전 1 ···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