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포스트:
2024.12.18 - [Language] - [HSK 6급 CH01] 광고 X 독학 100일 220점 공부 방법 및 후기
[HSK 6급 CH01] 광고 X 독학 100일 220점 공부 방법 및 후기
전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38 [HSK 5급] 노베이스 100일 독학 210점 후기 (맨 땅에 해딩하는 꿀팁) 광고 X(네이버 블로그에 작성했던 것 이전)고득점 X 노베이스로 180점 이상 원하시는 분 O
rnasterofmysea.tistory.com
2025.02.08 - [Language] - [HSK 6급 CH02] HSK6 독학으로 D-30 일 때 준비해야 할 것들 (feat. 유형별 분석)
[HSK 6급 CH02] HSK6 독학으로 D-30 일 때 준비해야 할 것들 (feat. 유형별 분석)
모의고사 모음 (듣기파일 포함, 답안 有, 해설 舞)https://archive.org/details/elsey_HSK6 시험 성적이 당장 안급하거나, 시험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앞서 작성한 포스트를 꼭 참고해주시기
rnasterofmysea.tistory.com
요약
✅10분 본문 읽기 요약
STEP 1. 빠른 속도로 속독(2~4분)
STEP 2. 키워드 분석 및 암기 (4~5분)
STEP 3. 결론 암기 (30초~1분)
✅ 35분 작문 요약
30분 컷 연습
400자 이상
시간 순서대로 작성
제목 - 서론 - 본론 - 결론 순
사자성어 활용
Intro
HSK6 쓰기 시험은 제시된 800~1000자의 글을 약 400자 내외로 요약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제한된 글자 수 내에서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연습이 필요합니다.
독학으로 HSK 6급을 준비한 독학러로서, HSK 6급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블로그 작성을 해볼까 합니다.
하단은 쓰기 문제 예시 입니다.
출제 되는 주제 및 분석
출제되는 주제는 3가지로, 성공일화, 수필, 옛날 이야기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가장 난이도가 있는 주제는 옛날 이야기이고 가장 수월한 것은 성공일화입니다.
그 이유는 주제별로 요약해야하는 키워드와 글 구성 방법에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1️⃣ 성공 일화 (성공담, 인물 이야기)
✔ 주제: 유명한 인물(기업가, 과학자, 예술가 등)의 노력과 성공 과정
✔ 예시: 마윈(阿里巴巴 창업자)의 도전과 실패 극복, 한 농부가 독학으로 발명한 사례
✅ 요약 방법
불필요한 배경 설명을 줄이고, 핵심 사건만 정리
성공의 핵심 요인(노력, 창의성, 끈기 등)만 남기고 사소한 디테일은 생략
🚩문장 구성
제목 → 인물 배경 → 인물의 도전 → 실패 → 성공 및 교훈
2️⃣ 수필 (삶의 교훈, 철학적인 이야기)
✔ 주제: 개인적인 경험, 감성적인 이야기, 삶의 교훈을 담은 글
✔ 예시: “어릴 때 할머니와의 기억이 내 인생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 요약 방법
감성적인 표현을 줄이고, 핵심 주제만 남기기
글쓴이의 느낌과 교훈을 중심으로 재구성사건의 세부적 묘사는 압축하여 간결하게 정리
🚩문장 구성
제목 → 인물 및 스토리 배경 → 역경 및 메인 스토리 → 시사하는 바
3️⃣ 옛날 이야기 (고사성어, 전설, 역사적 일화)
✔ 주제: 중국의 고사성어 유래, 역사적 교훈, 전통 이야기
✔ 예시: “와신상담(卧薪尝胆)의 유래”
✅ 요약 방법
불필요한 배경 설명과 묘사를 줄이고, 핵심 사건만 남기기인물의 행동과 결론을 강조하여 교훈이 명확하도록 정리긴 서사를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변환
🚩문장 구성
제목 → 일화 배경 → 역사 일화/ 사건 → 사자성어 및 교훈
하나씩 설명해보자면,
성공일화일 경우, 글 구조가 단순합니다.
"어려웠던 시기/어렸을 때 → 도전 → 실패 → 극복 및 성공(교훈)"
이야기가 이런 흐름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작문할때 사용하는 단어나 문법이 비슷비슷하며, 결론 또한 비슷합니다.
노력을 통해 성공했던가, 열정을 통해 성공했던가, 도전 정신으로 성공했던가 대부분 이런 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키워드만 잘 잡는다면 문장 구조나 결론을 잡는데는 매우 수월해집니다.
또한, 현대 사회 최소 근대 사회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내용이 더 직관적이고 독해 파트 등 평소에 많이 보던 단어들이 나와서 술술 읽힙니다. 등장인물의 이름이나 나라이름 등에서 처음보는 한자가 나올 확률도 적죠. 특히 중국에 대한 지식이 있으신 분이나 뉴스를 보시는 분들은 아는 얘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수필일 경우, 성공일화와 비슷하게 흘러갑니다. 보통 주인공(나)의 어떤 이야기를 통한 감정 또는 교훈인데, 다시 바꿔 표현하면 "주인공의 내,외적인 성장"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닥친 문제/어렸을 때 → 도전 → 실패 → 극복 및 성장(교훈)"
이야기가 대부분 이런 구조로 흘러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타임라인 별 주인공(나)의 생각의 변화, 감정의 변화 등 이야기 진행 순서 상 변화에 초점을 맞추기만 하면 됩니다.
결론도 성장 포인트, 교훈에 초점을 맞추면 되고요.
마찬가지로,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직관적이고 내용이 가장 쉽습니다.
개인적으로 어렵다고 느끼는 옛날 이야기..는 보통 사자성어, 전설, 역사적 일화가 출제됩니다.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는 내용보다는 주인공의 이름과 나라이름 등의 대명사와 이야기 연도를 외워야한다는 점 때문입니다.
청나라, 당나라, 춘추전국시대의 나라이름과 등장인물의 이름은 현대에 자주 쓰이는 이름들이 아니기 때문에 자주 마주치지 못했던 한자들이라서 내용을 다 아는데 이름을 정확히 명시하지 못해서 대체 명사를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빈번했습니다. 이건 듣기로 100% 감점 사유라서 작문을 더 잘 써야한다는 압박감이 생깁니다.
하지만 장점도 많습니다 ㅎㅎ...(조건부 장점)
넓고 얕은 지식형 장점
보통 역사적으로 유명한 일화나 사자성어의 유래가 자주 출제됩니다.
즉 해당 지식이 있다면 이미 아는 얘기를 쓰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는 이야기가 나오면 키워드와 이야기를 구성할 때 어려움이 싹 사라집니다.
예를 들어, "삼고초려" 사자성어의 일화는 삼국지를 한번이라도 읽어봤다면 꽁으로 먹는 주제가 되지 않겠습니까
유비가 혼란한 정세에 재갈량 3번 찾아가서 부탁한 것....
그렇다고 지금부터 사자성어를 공부하고 역사를 공부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그냥 그런 지식형 장점입니다.
❗ 꿀팁!!
HSK6급 필수 사자성어라고 단어책이나 기본서에 나와있는 것들이 있는데, 그때 간단하게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두면 외우기도 쉽고 해당 주제가 출제될 때 해당 장점을 가지고 가실 수 있습니다.
노력형 장점
자주 출제 되는 역사적 배경이 명, 청 제외 춘추전국시대인데, 춘추시대 배경이 다 그 나라가 그나라입니다(주(周), 제(齐), 진(晋), 초(楚), 오(吴), 월(越)). 지금 보면 막막한데 모의고사를 풀다보면 진짜 몇나라 안나와서 그냥 상식 처럼 저 나라 이름과 처한 기본적인 상황이 뇌에 들어오더라고요...
비슷한 이유로 주인공 이름도 비슷한 한자 돌려쓰는 느낌을 어느 순간 받게되었습니다...
즉 많이 풀면 어느정도 어려움이 해소된다는 점...?
HSK 작문 필수 & 추가 포인트
HSK6급에서 주제 무관 가져가야하는 필수 포인트 2가지는 문장구성, 키워드입니다.
✅문장 구성
작문 과제인 만큼 문정을 어떻게 구성하냐는 글의 흐름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어떤 공통 표현(템플릿)을 사용할 것인가에 큰 영향을 줍니다. 추가적으로 제목도 필수 구성요소로 인식됩니다.
제목 - 서론 - 본론 - 결론(교훈)
상단 문장 구조는 어떤 주제던 동일하게 가져가야합니다.
문단은 몇개로 나누던 상관 없습니다. 편하신대로 나눠도 무방합니다.
보통 굵직한 시간 순이나 이야기 배경 - 이야기 전개 - 해소 등 이야기 순으로 진행합니다.
저는 하단의 문장 구성 형식대로 템플릿화 하는 것을 연습했습니다.
❗❗시간 순
작문은 무조건 시간 순서대로 진행해야합니다!!
주인공의 어렸을 때와 성장 후 스토리를 혼합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근데 이건 키워드를 순서대로 파악했다면 자연스럽게 시간 순으로 쓰게 됩니다.
🔹 제목
제목일 경우 5~10점 정도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안쓰셔도 됩니다, 작문에 자신있으면.
저는 작문에 자신 없기 때문에 한 줄에 10점? 저는 썼습니다.
보통 안전빵은 결론부분을 한번 더 압축하면 됩니다.
옛날 이야기일 경우, 해당 스토리의 교훈(사자성어) , 춘추전국시대의 일화, 홍길동 왕의 지혜 등 결론
성공 이야기일경우, 홍길동의 성공 일화, 노력이 있으면 성공도 있다 등
수필일경우, 할머니의 교훈으로 부터의 성장, 홍길동의 성장 스토리 등
저는 상단의 예시 처럼 제목을 템플릿 화 했습니다.
성공일화
- OO的成功(成长)故事 - OO의 성공 스토리
- OO的奋斗历程 - OO의 고군분투 스토리
- 有记者事竟成 - 노력이 있으면 성공도 있다
- 成功来之不易 - 성공은 쉽게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수필
- OO的故事 - OO의 이야기
- 对~~的回忆 - ~에 대한 추억
옛날 이야기
- OOOO的由来 - (사자성어, 전설, 이야기) 의 유래
- 一个OOO的人 - OO 한 사람 이야기
모의고사와 문제를 푸시면서 본인에게 편한 공통 템플릿을 만들어 가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결론이나 이야기의 핵심 포인트가 사자성어로 압축되거나 본문에 언급된다면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 점수도 높게 받고 고민할 필요 없습니다.
🔹 서론 & 본론
서론과 본론은 시간 순, 이야기 진행순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키워드를 잘 잡아가면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키워드 파트에서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결론
결론은 깔끔해야합니다.
결론 1~2줄은 줄수는 짧은데, 준비를 하지 않으면 깔끔한 결론을 짓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가장 고득점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본문 내용을 외우는 것입니다!!! (?)
이게 무슨 말이냐면 ㅋㅋㅋ...
사실 HSK6급 쓰기는 요약없이 통째로 외워서 쓰셔도 됩니다, 가능만 한다면
글씨 하나 틀리지 않고 외워서 쓴다면 어법상, 단어상 문제가 없을 테니까요.
하지만 그게 안되니까 서론 본론은 요약해서 쓰되 결론만큼은 외워서 쓰자는 겁니다.
교훈, 성장 키워드, 주인공의 마지막 회고 등 무조건 한 줄로 적혀있는 본문 문장이 1줄 있습니다.
그것만큼은 통째로 외워서 그대로 옮기면 깔끔하게 끝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사자성어 활용입니다.(본문에 있을 경우)
내용이 옛날 이야기고 사자성어의 유래 또는 사자성어가 본문에 직접 제시가 되었다면,
"OOO 이라는 사자성어는 이렇게 유래가 되었습니다. OOOO는 ~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렇게 끝내면 됩니다.
세번째 방법은 직접 요약입니다.
제목을 두줄로 늘린다고 생각하고 직접 요약하시면 됩니다.
어법이나 단어 선정에서 오류가 날 수 있지만 유의하시면서 작성해야겠죠...
✨키워드
키워드가 작문의 핵심입니다.
또한 해당 부분은 작문 전 10분 본문 읽기 시간배분과 관련이 있습니다.
10분 읽기는 3 STEP으로 진행합니다.
- STEP 1. 빠른 속도로 속독(2~4분)
- STEP 2. 키워드 분석 및 암기 (4~5분)
- STEP 3. 결론 암기 (30초~1분)
속독이 빠르거나 결론 암기가 빠르다고 하시면 STEP2 키워드에 몰빵해서 내용을 풍부하게 압축하면 됩니다.
그럼 키워드는 어떻게 분석하냐?
주어, 동사, 시간, 핵심어
이 4가지만 꼭 잡고 가면 됩니다.
시간을 잡고가면, 글 쓰다가 시간이 햇갈일 일 업고 단락을 현명하게 나눌수 있으며,
주어, 동사, 핵심어를 잡고가면 문장 문장 고민 없이 술술 쓸 수 있습니다.(어법이 어느정도 된다면)
특히 등장 인물, 시간은 무엇보다 시험 통과 및 점수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주인공 이름을 못외워서 她,他로만 묘사하고, 나라이름을 못 외워서 一个国家만 묘사하고, 시간을 못외워서 古代时候, 最近으로 만 묘사하면 크게 점수 까입니다 정말 크게. 최소한 1번이라도 언급을 해야합니다. 정말 모를때만 대명사를 사용하세요
핵심어는 학교, 회사명, 수상 이름 등등이 해당됩니다.
동사를 키워드 잡는 것이 좋습니다. 동사는 내용이 진행되는 데에 필수 요소 이기 때문에 문장 문장의 키워드를 동사로 잡으면 차후 작문시 편합니다.
키워드에는 항상 사자성어가 들어갑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자성어는 제목에도 쓰고 결론에도 쓸 수 있는 묘사이고
무엇보다 고급 중국어지 않겠습니까, 사자성어가 나왔다, 쓸수있다(한어병음 칠 수 있다)면 무조건 키워드로 잡고 암기해야합니다.
추가 포인트
➕사자성어
사자성어가 본문에 등장하지 않더라도 알고 있는 사자성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점수가 향상됩니다.
하지만 잘못 사용할 경우 오히려 마이너스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쓸 수 있는 상황에서 사자성어를 최대한 활용해야합니다.
듣기로 어떤 인강 혹은 학원에서는 사자성어를 필수 요소로 간주하고, 안썻을 경우 통과하기 힘들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만,
애매할 경우 안써도 통과하는데 지장없습니다.
저는 알고 있는 거 쓰긴했지만 같이 시험 본 친구들은 아무도 안썼는데 다 통과했습니다.
➕ 검토 시간
꼭 시간적 여유를 두어서 검토시간을 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BT 시험에서 한어병음 입력후 자동완성 또는 잘못 선택해서 엉뚱한 단어가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합니다(본인 얘기)
진짜 한어병음도 아는데 잘못 기입되면 해당 문장도 버리고 내용 흐름도 버리기 때문에 누적되면 돌이킬수 없는 결과가 나옵니다...
꼭꼭 검토해서 단어 수정해야합니다.
준비 방법
(드디어 준비 방법이다...)
위에서 언급한 필수 포인트가 숙지가 되었스면 이제 모의고사나 작문 연습하실 때 유의해야할 것은 시간과 어법입니다.
시간은 앞서 키워드 부분에서 언급한 것 처럼
10분 본문 읽기
STEP 1. 빠른 속도로 속독(2~4분)
STEP 2. 키워드 분석 및 암기 (4~5분)
STEP 3. 결론 암기 (30초~1분)
에다가 35분 요약문 작성 부분만 설명하면 되는데,
추가 포인트 검토 시간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5분 이상 시간을 남기는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그니까 최대 25분 작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연습하면 됩니다.
적으면 적을 수록 좋습니다.
저는 "25분 작성 5분 검토 30분 종료"를 추천드립니다.
시험때는 긴장도 하고 단어가 생각 안나서 더 작문 시간이 연습보다 길어집니다.(본인 얘기)
그래서 최소 5분 여유를 두고 연습을 해야합니다.
실제로 저는 평소 모의고사 풀때 작문 검토까지 27~8분 내외로 끝냈는데 시험장에서는 정확히 32분 21초 나왔습니다.
여유가 없다는 뜻이죠
그니까 타이머를 딱 30분만 맞추고 연습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표현력 늘리기
공부하거나 중국어를 활용할때 본인만의 자주 쓰는 접속사나 중국어 문장 구조가 있습니다.
쓰기는 이것을 하나씩 늘려가면서 자신만의 템플릿을 만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전에 작성했던 포스트를 인용하겠습니다.
2025.02.08 - [Language] - [HSK 6급 CH02] HSK6 독학으로 D-30 일 때 준비해야 할 것들 (feat. 유형별 분석)
HSK 5급은 단어만 바꾸면 되는 명확한 템플릿을 사용했다면 HSK 6급일 경우 가장 넓은 틀만 잡는 것을 추천.
나머지는 주어지는 본문에 맞춰 본인이 서술하는 것을 연습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
虽然~但是 등등 필수 문법 표현같은 것은 알아두면 유용. 이것도 본인의 언어 습관에 맞춰서 자주쓰는 것만 외워도 충분. 많이 외운다고 다 써지는거 아니기 때문에.
지금 시험 30일 이상 남은 단계에서는
스크립트를 10분안에 보고 내용을 정리하고 키워드를 외울 수 있는 능력에 집중.
결국 나중가서는 작문능력이 문제가 아니라 10분안에 얼마나 기억을 할 수 있는지
기억력 싸움
10분안에 중요한 내용과 키워드를 머리 속에 집어 넣는 연습을 하자.
작문에 관해서는 시간 체크 없이 주제 하나 두고 끝까지 써보는 것에 의의를 두고 써도 됌.
10분동안 본 스크립트가 머리속에 오래남는 것 아니라서 아무리 길게 써도 한시간 안넘어 감.
템플릿을 사용하지 말고
자신의 언어로 쓰는 연습
을 추천. 지금 부터 템플릿 남발하면 본문 주제 조금만 틀어져도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림.
사전을 최대한 검색하지 않되, 이 단어는 작문에 필요한 필수 단어일것 같다 하는 것은 작문 도중 검색해서 쓰고 꼭 체크해두길 바람.
마무리
이렇게 시리즈로 진행되었던 HSK6급 독학러들을 위한 공부방법이 끝이 났네요 ㅎㅎㅎ...
제 경험을 풀어 쓰는게 이렇게 어려운 일인지 다시 한번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중국어 관련헤서 컨텐츠는 계속 업로드 할 생각입니다,
저를 포함한 모두를 위해서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
📌 더 많은 알고리즘 풀이와 프로그래밍 자료는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문의나 피드백은 댓글이나 이메일로 남겨주세요.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어 부수 빈도 TOP 20 (HSK 및 중국어 전체) (0) | 2025.04.15 |
---|---|
중국어의 90%는 단어다 (feat. 중단어 암기법, 노베이스 중국어 독학) (2) | 2025.04.02 |
[HSK6 CH04] 독해 독학러 공부 방법 및 시험 꿀팁 (2) | 2025.02.23 |
[HSK6 CH03] 듣기 독학러 공부 방법 및 시험 꿀팁 (1) | 2025.02.21 |
[HSK 6급 CH02] HSK6 독학으로 D-30 일 때 준비해야 할 것들 (feat. 유형별 분석)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