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제가 첫 포스트때 부터 말한 "중국어의 90%는 단어다" 에 대해 오늘 정확히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노베이스로 HSK5, HSK6급을 딸 수 있는 방법
효율적으로 중국어 단어 암기법
가장 빠르게 중국어를 습득하는 방법
가장 빠르게 HSK를 합격하는 방법
이렇게 제목을 붙힐 수도 있겠네요.
저는 중국어를 처음 접하고 100일 안팎으로 HSK5급을 취득했습니다.
HSK5급와 HSK6급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4.12.03 - [Language] - [HSK 5급] 노베이스 100일 독학 210점 후기 (맨 땅에 해딩하는 꿀팁) 광고 X
[HSK 5급] 노베이스 100일 독학 210점 후기 (맨 땅에 해딩하는 꿀팁) 광고 X
(네이버 블로그에 작성했던 것 이전)고득점 X 노베이스로 180점 이상 원하시는 분 O 먼저 높지 않은 점수로 후기를 남기면서 꿀팁을 드린다는 점에서 양해부탁드립니다.. 맨 땅에 헤딩하는 독고
rnasterofmysea.tistory.com
2024.12.18 - [Language] - [HSK 6급 CH01] 광고 X 독학 100일 220점 공부 방법 및 후기
[HSK 6급 CH01] 광고 X 독학 100일 220점 공부 방법 및 후기
전 포스트https://rnasterofmysea.tistory.com/38 [HSK 5급] 노베이스 100일 독학 210점 후기 (맨 땅에 해딩하는 꿀팁) 광고 X(네이버 블로그에 작성했던 것 이전)고득점 X 노베이스로 180점 이상 원하시는 분 O
rnasterofmysea.tistory.com
🔷중국어의 90%는 단어다
읽기(독해)만 비교해보면,
학창시절부터 공부하는 대표적인 외국어인 영어랑 비교했을 때
영어는 "문장 성분 분석 + 문법 + 단어" 3박자가 종합적으로 필요합니다.
특히 영어는 문법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토익이나 수능 등 시험에서 문법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또한 문장을 형식 별로 나누어 해석하는 능력을 중요하게 여기죠.(feat. S + V + O)
하지만 중국어일 경우 단어가 문법이자 단어가 문장 성분입니다.
영어에서의 과거형(d, ed) 혹은 한국어에서의 을/를 같은 부분이 없다는 말입니다.
좀 더 전문 용어를 써서 말하자면,
영어는 굴절어(inflectional language)로서:
- 문장 성분 분석이 중요합니다 (주어+동사+목적어 등)
- 문법 규칙이 복잡하고 명확합니다 (시제, 태, 법 등)
- 단어 자체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합니다 (run, ran, running 등)
반면 중국어는 고립어(isolating language)로서:
- 단어 자체가 변하지 않습니다
- 단어의 위치와 조합이 문법적 기능을 결정합니다
- 시제나 문법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조사나 어미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I went to school"을 중국어로 표현하면 "我去学校" (wǒ qù xuéxiào)가 되는데, 이때 '去(qù)'라는 단어는 과거형으로 변하지 않고,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나 문맥을 통해 과거임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중국어 학습자들은 단어를 익히는 것에 집중하면, 문법적 이해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장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일관되기 때문이죠. 즉, 단어만 확실하게 외워도 중국어의 많은 부분을 커버칠 수 있습니다.
🔷 한국사람은 중국어를 이미 알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까지는 서로의 언어를 배우기가 타문화권 사람들에 비해 간단합니다.
중국어는 특히 언어적 유사성이 깊은 언어기 때문에 중국 사람이 쓰는 대부분의 단어를 한국사람은 알고있습니다.
다만, 발음 규칙과 성조 규칙 등의 규칙을 모르기 때문에 중국어나 매우 낮설게 보일 뿐입니다.
"한자 어휘의 공유" 개념으로 볼 수 있는데요,
고교 국어시간에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어휘 중 상당수(약 60%)가 한자어에서 유래되었다고 배운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을 바꿔서 얘기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어의 60% 는 그대~~로 중국어로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학교(學校) - 중국어 xuéxiào 学校
- 도서관(圖書館) - 중국어 túshūguǎn 图书馆
- 전화(電話) - 중국어 diànhuà 电话
하단에 HSK 5급 독학하면서 정리한 단어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서 설명하겠습니다.
HSK5급을 준비하시는 분이시면 참고하시고 아니시면 패스하셔도 됩니다.
🧪 HSK 5급 단어 분석

전체 단어 수: HSK 5급 단어장은 총 1256개의 중국어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용된 한자 종류: 이 단어들에 사용된 개별 한자 문자의 종류는 1195자에 이릅니다. 이는 중복을 제외한 고유 한자 개수입니다.
✅ 한자 사용 빈도와 중복 분석
- 중복 사용된 한자 수: 전체 1195개의 고유 한자 중 500자는 두 번 이상 반복되어 여러 단어에 사용되었습니다. 나머지 약 695자는 해당 단어장에서 단 한 번만 등장한 한자입니다.
- 한자 중복률: 고유 한자의 약 42%가 중복 등장한 것으로, 자주 쓰이는 핵심 한자가 여러 단어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학습(學習)”과 “학교(學校)”에 공통으로 쓰인 “學” 자처럼 중요한 한자는 여러 단어에 걸쳐 반복됩니다. 이러한 핵심 한자는 한국인 학습자에게도 친숙한 경우가 많아 어휘 학습에 유리합니다. 반면 한 번만 등장하는 한자는 전문적인 어휘이거나 해당 급자에서 처음 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약 89% 이상이 한국어에 존재하는 단어
HSK 5급 단어들의 상당수가 한국어 한자어와 음(소리)이나 의(뜻) 면에서 유사하거나 사실상 동일합니다. 1256개 단어 중 약 1120여 개 (약 89% 이상)가 한국어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한자어로 존재하여, 한국어 화자가 의미를 추측하거나 발음을 연상하기 비교적 쉽습니다.
- 음과 뜻 모두 일치 예시: “教育(jiàoyù)” – 한국어 “교육”(敎育) : 발음과 의미가 모두 같아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뜻이 유사한 예시: “ 经济(jīngjì)” – 한국어 “경제”(經濟): 발음은 약간 다르지만, 의미가 동일하여 맥락상 이해가 가능합니다.
- korean.stackexchange.com
- 음만 유사한 예시: “ 技术(jìshù)” – 한국어 “기술”(技術): 뜻은 ‘솜씨/테크닉’으로 같고 발음도 유사합니다.
✅ 한국어에 없는 한자의 비율 (음/의 치환 불가 한자)
HSK 5급 단어에 등장하는 한자 중에는 한국어에서 음이나 뜻으로 대응되는 한자어를 찾기 어려운 문자도 일부 존재합니다. 이러한 한자는 주로 간체자로만 존재하거나 한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어휘에 포함된 글자들입니다.
예를 들어:
“厦”(큰 건물을 뜻하는 한자, 단어 “大厦"(dàshà, 빌딩)에 포함)
- 한국어에는 해당 한자의 음독/훈독이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辣”(맵다, 단어 “辣椒”(làjiāo, 고추)에 포함)
– 한국어에는 맵다”를 나타내는 한자어가 없어 고유어로 표현합니다. 단! 우리는 이미 많이 사용해서 익숙해진 말입니다.
마라탕의 "라"!
이처럼 한국어에서 대응 한자어를 찾기 어려운 한자는 전체 1195자 중 약 200여 자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한자의 약 15~20% 수준으로, 비교적 소수에 해당합니다. 다시 말해 80% 이상의 한자는 한국어에서도 음이나 뜻이 통하는 셈입니다. 대응 한자가 없는 경우 한국인 학습자는 해당 글자의 의미를 문맥이나 그림으로 새롭게 학습해야 하지만, 이러한 글자는 HSK 5급 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는 않습니다.
위 분석을 종합하면, HSK 5급 중국어 단어는 상당 부분 한국어의 한자어와 겹치므로 한국인에게 학습에 유리합니다. 전체 단어의 약 89%가 한국어에서 뜻이나 소리가 통하는 한자어 기반이며, 핵심 한자들은 여러 단어에 반복 등장하여 어휘망이 서로 연결됩니다. 반면 한국어에 없는 한자는 일부에 불과하여, 한국인은 모르는 문자보다 아는 한자를 활용해 어휘를 추측할 수 있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이것이 제가 노베이스에서 HSK5급을 3달만에 합격하고 중국어 회화를 2달 정도 공부한 후 5개월 만에 중국어를 틔게 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중국어는 어려워 보이지만 어렵지 않기 때문에. 공부하면서도 계속 느꼈습니다.
동아시아 문화, 한자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서양권 친구들은 어떻게 중국어를 공부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지속적으로 들정도로 중국어는 한국인에게 상대적으로 어려운 언어는 아닙니다.
🔬 중국어 단어를 학습 유형으로 분류해보자면
✅ 1. 문법적 요소를 띄는 중국어 단어
중국어는 형태 변화가 거의 없는 분석어 계열 언어이기 때문에 문법 요소가 단어 자체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이 문법어들은 대부분 1음절 또는 2음절 단어이며, 기능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표적인 문법어 종류
조사류 | 的, 得, 地 | 수식어 연결, 성분 구분 | 조사/어미 |
접속사 | 和, 与, 但是 | 단어/문장 연결 | 그리고/하지만 |
부사 | 就, 才, 也, 还 | 시간/강조/반전 등 | 부사 |
조동사 | 会, 能, 应该 | 가능성, 의무 등 | ~할 수 있다 |
어기조사 | 吧, 呢, 啊 | 말투 조절, 감탄 | 어말 어기소 |
기능적 역할이 강하므로 의미를 유추하기 어렵고 따로 익혀야 합니다.
대부분 한국어에 대응되는 조사/어미/조동사가 있으나 생소한 개념과 어법이 존재합니다.
이런 중국어 단어, 즉 한자, 즉! 어법은 그냥 외우기보다는 무시 때리고 독해를 하면서 눈으로 익히면 됩니다.
어법을 공부하기 위해 자세히 분석하거나 학습하는 것은 괜찮으나 한자 자체로 스트레스 받거나 외우는데 스트레스 받을 필요는 없다는 얘기입니다.
"사과와 배", "중국어와 한국어" 를 처음 보는 미국인은 "와"가 뭔지는 몰라도 사과와 배라는 한국어를 안다면 "와"가 "and"라는 것은 유추하고 앞으로 "와"를 보게되면 and로 해석하겠죠. 같은 맥락입니다.
✅ 2. 의미 단어 (명사, 동사, 형용사 등)
명사 | 经济, 教育, 环境 | 경제, 교육, 환경 | 경제, 교육, 환경 | 거의 동일 |
동사 | 解决, 发展, 影响 | 해결하다, 발전하다, 영향을 주다 | 해결, 발전, 영향 | 매우 유사 |
형용사 | 重要, 快乐, 简单 | 중요하다, 즐겁다, 간단하다 | 중요, 쾌락, 간단 | 대부분 유사 |
부사 | 马上, 终于 | 곧, 마침내 | 곧, 드디어 | 대응 가능 |
이게 위의 단락에서 언급한, 대부분 한국어의 한자어와 의미, 음이 유사한 유형입니다.
한국인은 발음으로써 아니면 한자로서 대부분의 중국어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중복 사용된 한자 수: 전체 1195개의 고유 한자 중 500자는 두 번 이상 반복되어 여러 단어에 사용되었습니다. 나머지 약 695자는 해당 단어장에서 단 한 번만 등장한 한자입니다.한자 중복률: 고유 한자의 약 42%가 중복 등장한 것으로, 자주 쓰이는 핵심 한자가 여러 단어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부분을 다시 언급하자면, 정말 중복되는 한자 몇 개만 알아도 단어가 팽창합니다.
학생, 생존, 생산, 생일
네, 모두 같은 生 입니다.
이런 핵심 한자 위주로 외우면 어휘력의 부피를 키울 수 있습니다.
품사 구분은 한국어와 달리 동사-형용사 구분이 모호하나, 문맥상 적응 가능하고,
아까 언급한대로 한국어랑 매칭이 안되서 외워야하는 부분도 당연히 존재하지만 그 수가 적고,
언어 레벨을 올릴 때 고려해볼만 한 사항이지, 막 공부 시작한 단계에서는 한국어에서도 쓰이고, 중국어에서도 자주 쓰의는 단어만 외워도 5급 까지는 정말 합격합니다.
⚠️ 그럼에도 중국어는 진입장벽이 높아 보입니다.(실제로 높은 듯..)
제 경험과 주변인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듣기(성조), 독해(한자)가 가장 큰 장벽이자 장애가 되는 것 같네요.
사실 성조와 한자는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저희한테는 항상 따라오는 이슈입니다.
어떤 언어든 마찬가지로 외국인이면 당연한거고요.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스킬을 점프점프 하면서 언어 레벨을 높히는 수 밖에 없죠..
그나마 한자는 어느 정도의 간단한 규칙 파악이 되면 HSK5~6급 정도의 독해 및 해석에 전혀 어려움이 없고
그 이상을 학습하게 되면 원어민 수준 까지는 아니더라도 왠만한 글을 해석할 정도로 점프할 수 있다는 것이 제 관점입니다.
성조는 저도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인데요,
이것은 어학환경을 최적화 하지 않는 이상 늘리기 힘든 것 같습니다.
많이 듣고 사용하는 환경 하에 늘릴 수 있는 그런 것...?
어차피 그냥 자격증 취득이 목표시라면 성조 이런거 보다 그냥 단어만 해도 통과는 합니다. 중국어를 실제로 활용하는 능력이 저조해서 그렇지...
만약에 회화까지 종합적으로 잡고 가고 싶으면 성조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단, 회화 공부랑 자격증 공부를 분할하는게 항상 어떤 언어 공부든 개인적인 스킬 성장이나 점수 향상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결론
다음에는 중단어 외우는 저만의 스킬에 대해서 작성할 계획입니다.
사실 이번 포스트에 같이 하려고 했는데 시간관계상 ㅋㅋ... 죄송합니다.
HSK 5급 단어장 필요하신 분 있으면 메일 주세요.
랜덤으로 단어 테스트도 가능한 엑셀 파일입니다.
rnasterofmysea@gmail.com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어 부수 빈도 TOP 20 (HSK 및 중국어 전체) (0) | 2025.04.15 |
---|---|
[HSK6 CH04] IBT 쓰기 독학러 공부 방법 및 시험 꿀팁 (0) | 2025.03.02 |
[HSK6 CH04] 독해 독학러 공부 방법 및 시험 꿀팁 (0) | 2025.02.23 |
[HSK6 CH03] 듣기 독학러 공부 방법 및 시험 꿀팁 (1) | 2025.02.21 |
[HSK 6급 CH02] HSK6 독학으로 D-30 일 때 준비해야 할 것들 (feat. 유형별 분석) (0) | 2025.02.09 |